definition | 제주도굿에서 떡이 든 차롱을 들고 추는 춤. |
---|---|
mp3Cnt | 0 |
wkorname | 문무병 |
정의 | 제주도굿에서 떡이 든 차롱을 들고 추는 춤. | 내용 | [시왕맞이](/topic/시왕맞이) 초감제에서 새림 뒤 신청궤를 하기 전에 심방이 돌래떡을 넣은 채롱을 들고 추는 춤을 도래둘러맴이라고 한다. 심방은 새림을 한 뒤 악기의 신을 대접하기 위하여 [향로](/topic/향로)를 들고 춤을 추고, 돌래떡을 담은 채롱을 들고 춤을 추어 신을 즐겁게 하며, 춤이 끝나면 무악기인 [설쇠](/topic/설쇠)•북•징 위에 떡을 올려놓고 악기의 신 ‘너사무너도령’을 대접한다. [연물](/topic/연물)은 곧 악기의 신이기 때문이다. 이때 돌래떡이 든 채롱을 들고 추는 춤을 ‘도래춤’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도래둘러맴은 악기의 신을 대접하기 위하여 마련한 ‘도래 채롱’을 둘러메고 춤을 추는 굿이다. 굿을 할 때 춤을 추는 심방과 악기를 두드리는 [소무](/topic/소무)의 관계는 [무조신](/topic/무조신) 젯부기 삼형제와 악기의 신 너사무너도령의 팔자동관 유학형제법에 의한다. 제주도의 [무속신화](/topic/무속신화)인 ‘[초공본풀이](/topic/초공본풀이)’에 의하면 무조신과 악기의 신은 모두 팔자를 그르쳐 굿을 했고, 굿을 하기 위하여 어머니의 물명주 [단속곳](/topic/단속곳) 왼쪽 구[멍에](/topic/멍에)서 오른쪽 구멍으로 나와 위아래 육형제 ‘한배 형제’가 되는 의식을 행하여 의형제를 맺었다. 삼형제는 두 이레(열나흘) 동안 북소리를 울려 굿을 하여 어머니를 살려내었다. 큰굿은 두 이레 동안 삼천천제석궁에 북을 울리면서 삼천천제석궁에 갇힌 어머니를 구한 데서 비롯되었다. 무조신 삼형제는 서광베포땅 어주애삼녹거리에 큰집을 지어 어머니를 모시고, 어머니는 이승 삼하늘을 차지하게 되었다. 또한 북과 장구 등은 너사무너도령으로 하여금 지키게 함으로써 너도령 삼형제는 악기의 신이 되었다. 그러므로 도래둘러맴은 심방의 신[巫祖] 젯부기 삼형제와 한배 형제가 되는 악기의 신 너사무너도령 삼형제를 잘 대접하여 악기가 잘 울리게 하고, 굿춤 또한 신명을 얻어 굿이 잘되게 하는 [악사](/topic/악사)와 연물을 위한 굿이다. 도래둘러맴의 진행 순서는 다음과 같다. 시왕맞이, 초감제, 군문열림이 끝나고 새림이 끝난 뒤 신청궤를 하기 전에 시작되는 도래둘러맴은 주잔권잔, 향로춤, 도래둘러맴, 젯북제맞이굿, 원불수륙춤, 신칼점의 순서로 진행된다. 주잔권잔과 향로춤이 끝나면 소무는 요령과 떡 차롱을 들고 제장에 서서 [사설](/topic/사설)과 춤을 반복한다. “당주 도래 몸주 도래 신영간주 도래 신나게 했습니다. 인왕 도래 신내우니 인군님이 응할 듯하는구나. 상방 상도래 중방 중도래 하방 하도래까지도…”라는 내용의 사설을 한 뒤 악사들이 앉아 있는 곳으로 가서 악기 위로 떡채롱을 왔다 갔다 하며 흔드는 춤을 춘다. “열 십전대왕님에도 인정 많이 받아 위에 올립니다. 삼시왕님에도 인정 많이 받아다가 위 올려 드립니다. 울랑국범천왕(북) 대제김(큰북) 소제김(작은북)에 간장 타던 선생님네들 많이 인정을 받아다 위 올려 드리며, 안도래는 바깥으로 넘놀리고, 바깥도래는 안으로 넘놀리자……”라는 내용의 사설이 이어지고, 다시 떡채롱을 흔드는 춤을 춘다. 다음으로 ‘젯북제맞이굿’으로 넘어간다. 소무는 “연당 아래 굽어보면 너사무너도령 밤낮 몰라 울고 있더라. 애산 신구월 초여드레 본명두, 열여드레 신명두, 스무여드레 삼명두 원불당 원수룩 올리면 살아날 듯합니다. 동서남북으로 전새남육[마을](/topic/마을) 내세울 도랩니다. 없는 금전 없는 [제물](/topic/제물) 내세울 도랩니다. 자손들 다니는 길 편안하고 소원성취 시켜줄 도랩니다. 몸도 편안하고 동서로 먹을 연 입을 연 앉아난 데 서난 데 헌사날 일 가시 들 일 막아 주고, 큰굿이여 작은굿이여 [불도맞이](/topic/불도맞이)여 [성주풀이](/topic/성주풀이)여 내세와 줄 도래외다. 원불당 원수룩 신불당 신수룩 젯북제맞이 굿입니다”라는 내용의 사설을 한 뒤에 ‘당당 당당당’ 하는 2•3박의 수륙연물에 맞추어 원불수륙춤을 춘다. 원불수륙춤이 끝나면 북소리에 맞춰 주잔넘김을 한다. 마지막으로 신칼과 요령을 흔들며 춤을 추다가 신칼점을 치고 마친다. | 참고문헌 | 제주도 [무속신화](/topic/무속신화) (문무병, 칠머리당굿보존회, 1998) 한국의 굿 (문무병 외, 민속원, 2002) 제주도의 굿춤 (문무병, 각, 2005) 바람의 축제 칠머리당영등굿 (문무병, 황금알, 2005) 굿의 [기메](/topic/기메)·[전지](/topic/전지) (문무병, 제주특별자치도, 2008) |
---|
도래둘러맴 | 64536 도래둘러맴 |
---|---|
도래둘러맴 | 64538 도래둘러맴 |
도래둘러맴 | 64537 도래둘러맴 |
도래둘러맴 | 64535 도래둘러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