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몰래물마을방사탑

한국무속신앙사전
제주몰래물마을방사탑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도두2동의 몰래물[마을](/topic/마을)에 있는 2기의 방사탑. 1995년 8월 26일에 ‘제주도 민속자료 제8-1호와 제8-2호’로 각각 지정되었다.
definition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도두2동의 몰래물[마을](/topic/마을)에 있는 2기의 방사탑. 1995년 8월 26일에 ‘제주도 민속자료 제8-1호와 제8-2호’로 각각 지정되었다.
mp3Cnt
0
wkorname
강소전
정의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도두2동의 몰래물[마을](/topic/마을)에 있는 2기의 방사탑. 1995년 8월 26일에 ‘제주도 민속자료 제8-1호와 제8-2호’로 각각 지정되었다.
정의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도두2동의 몰래물[마을](/topic/마을)에 있는 2기의 방사탑. 1995년 8월 26일에 ‘제주도 민속자료 제8-1호와 제8-2호’로 각각 지정되었다.
내용방사탑은 제주시 도두2동 690-1[번지](/topic/번지), 도두2동의 몰래물[마을](/topic/마을) 해안 쪽에 있다. 물래물마을이 형성된 조선시대 중기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마을의 ‘엉물’과 ‘물동산’ 지경의 남쪽이며, ‘탑거리동산’을 기준으로하면 동쪽에 있다. 방사탑은 물동산에서 직선으로 남쪽 약 70m 지점에 있으며, 현재 방사탑 근처에 해안도로가 개설되어 접근하기도 수월하다.

원래 몰래물마을에는 방사탑이 3기가 있었다고 한다. 마을의 ‘구한질’ 남쪽에도 1기가 더 있었다고 하지만 지금은 사라지고 현재 해안 쪽에 2기가 남아 있는 것이다. 방사탑은 마을 안에서 허하다고 인식된 방위나 지경에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고 액을 막는 목적으로 세워졌다. 예부터 몰래물마을에서는 북쪽인 해안을 허하다고 여겨 이곳에 방사탑을 세웠다고 한다. 현재 몰래물마을에는 제주국제공항 확장 공사로 사람들이 더 이상 거주하지 않게 되었지만 방사탑은 아직 남아 있어 마을의 옛 자취를 지키고 있다.
참고문헌제주민속유적 (제주도, 1997)
제주시문화유적분포지도해설집 (제주시․제주대학교박물관, 1998)
몰래물향토지 (제주시 도두2동, 2000)
제주거욱대 (강정효, 각, 2008)
내용방사탑은 제주시 도두2동 690-1[번지](/topic/번지), 도두2동의 몰래물[마을](/topic/마을) 해안 쪽에 있다. 물래물마을이 형성된 조선시대 중기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마을의 ‘엉물’과 ‘물동산’ 지경의 남쪽이며, ‘탑거리동산’을 기준으로하면 동쪽에 있다. 방사탑은 물동산에서 직선으로 남쪽 약 70m 지점에 있으며, 현재 방사탑 근처에 해안도로가 개설되어 접근하기도 수월하다.

원래 몰래물마을에는 방사탑이 3기가 있었다고 한다. 마을의 ‘구한질’ 남쪽에도 1기가 더 있었다고 하지만 지금은 사라지고 현재 해안 쪽에 2기가 남아 있는 것이다. 방사탑은 마을 안에서 허하다고 인식된 방위나 지경에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고 액을 막는 목적으로 세워졌다. 예부터 몰래물마을에서는 북쪽인 해안을 허하다고 여겨 이곳에 방사탑을 세웠다고 한다. 현재 몰래물마을에는 제주국제공항 확장 공사로 사람들이 더 이상 거주하지 않게 되었지만 방사탑은 아직 남아 있어 마을의 옛 자취를 지키고 있다.
참고문헌제주민속유적 (제주도, 1997)
제주시문화유적분포지도해설집 (제주시․제주대학교박물관, 1998)
몰래물향토지 (제주시 도두2동, 2000)
제주거욱대 (강정효, 각, 2008)
형태방사탑 2기가 동서 방향으로 나란히 세워져 있다. 동쪽 방사탑이 1호, 서쪽 방사탑이 2호이다.

방사탑 1호(민속자료 제8-1호)의 외형은 전체적으로 잘 다듬어진 원뿔형이다. 지형은 대체로 남쪽이 높고 북쪽이 낮다. 바깥쪽에서 높이는 402㎝이고 밑지름은 443㎝이다. 표준으로 삼은 쌓음돌의 크기는 101×95㎝, 73×54㎝, 44×35㎝, 25×21㎝이다. 방사탑의 속은 잡석으로 메웠다. 원뿔형의 가장 윗부분에는 새 모양과 비슷한 다소 길쭉한 형태의 자연석 두 개를 설치하면서 끝부분을 서로 맞대어 붙여 놓았다. 1990년대에는 이 두 개의 자연석이 나란히 서 있었다고 한다.

방사탑 2호(민속자료 제8-2호)는 1호와 약 14m 떨어져 있으며, 역시 원뿔형이다. 지형은 남쪽이 높고 북쪽이 낮다. [마을](/topic/마을)에서 보면 안쪽이 높고 바깥쪽이 낮다. 지반은 암반과 잡석으로 이루어졌다. 현무암 자연석을 이용하였고, 잡석으로 속을 채웠다. 표준으로 삼은 쌓음돌의 크기는 98×82㎝, 85×55㎝, 50×27㎝, 20×16㎝이다. 높이는 바깥쪽에서 424㎝, 안쪽에서 250㎝이다. 밑지름은 주변의 잡석으로 인하여 확인할 수 없으며 윗지름은 180㎝이다. 1호에 견주어 탑 위에는 특별한 모양의 장식물이 없고 자연석만 올려놓았다.
형태방사탑 2기가 동서 방향으로 나란히 세워져 있다. 동쪽 방사탑이 1호, 서쪽 방사탑이 2호이다.

방사탑 1호(민속자료 제8-1호)의 외형은 전체적으로 잘 다듬어진 원뿔형이다. 지형은 대체로 남쪽이 높고 북쪽이 낮다. 바깥쪽에서 높이는 402㎝이고 밑지름은 443㎝이다. 표준으로 삼은 쌓음돌의 크기는 101×95㎝, 73×54㎝, 44×35㎝, 25×21㎝이다. 방사탑의 속은 잡석으로 메웠다. 원뿔형의 가장 윗부분에는 새 모양과 비슷한 다소 길쭉한 형태의 자연석 두 개를 설치하면서 끝부분을 서로 맞대어 붙여 놓았다. 1990년대에는 이 두 개의 자연석이 나란히 서 있었다고 한다.

방사탑 2호(민속자료 제8-2호)는 1호와 약 14m 떨어져 있으며, 역시 원뿔형이다. 지형은 남쪽이 높고 북쪽이 낮다. [마을](/topic/마을)에서 보면 안쪽이 높고 바깥쪽이 낮다. 지반은 암반과 잡석으로 이루어졌다. 현무암 자연석을 이용하였고, 잡석으로 속을 채웠다. 표준으로 삼은 쌓음돌의 크기는 98×82㎝, 85×55㎝, 50×27㎝, 20×16㎝이다. 높이는 바깥쪽에서 424㎝, 안쪽에서 250㎝이다. 밑지름은 주변의 잡석으로 인하여 확인할 수 없으며 윗지름은 180㎝이다. 1호에 견주어 탑 위에는 특별한 모양의 장식물이 없고 자연석만 올려놓았다.
문교부진쇠장단외 십일장단박헌봉1966
문화재관리국시나위유기룡ㆍ이보형1971
집문당경기도 도당굿 무가의 현지 연구김헌선1995
민속원한국의 무속장단임수정1999
민속원지영희민속음악연구자료집2000
경기도 국악당경기판소리의 정착과 형성집단김헌선2005
제주몰래물마을방사탑
23836
제주몰래물마을방사탑
제주몰래물마을방사탑
23836
제주몰래물마을방사탑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