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신무

한국무속신앙사전
입무 과정으로 무당을 유형화하는 학문적 용어로, [신병](/topic/신병)(神病)을 앓아 [내림굿](/topic/내림굿)을 받고 신이 실려 [공수](/topic/공수)를 하는 무당.
definition
입무 과정으로 무당을 유형화하는 학문적 용어로, [신병](/topic/신병)(神病)을 앓아 [내림굿](/topic/내림굿)을 받고 신이 실려 [공수](/topic/공수)를 하는 무당.
mp3Cnt
0
wkorname
김시덕
정의입무 과정으로 무당을 유형화하는 학문적 용어로, [신병](/topic/신병)(神病)을 앓아 [내림굿](/topic/내림굿)을 받고 신이 실려 [공수](/topic/공수)를 하는 무당.
내용강신무(降神巫)는 무업을 배우거나 대물림하는 세습무(世襲巫)의 반대개념이다. 강신무는 신이 몸에 실려서 직접 신어를 말하고, 세습무는 신을 대신해서 신의 말을 전달하는 차이가 있다. 강신무는 엑스터시(Ecstasy)를 동반하는 샤먼으로 [신병](/topic/신병)을 거쳐 좌정시킨 신을 모시는 신당(神堂)이라는 성소를 갖추고 형식화된 의례인 굿을 주재한다. 그리고 신병, 신당, 무의(巫儀)라는 세 [가지](/topic/가지) 조건을 갖춰야 강신무라고 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강신무의 특성을 살펴보면 ‘강신체험이 있고 세습되지 않는다. 신에 대한 의식이 강하다. 개인의 신당이 있다. 굿을 할 때 타악기와 빠른 도무를 통해 엑스터시에 몰입하여 공수를 하고, 신으로서의 역할을 하며, [무복](/topic/무복)이 발달되었다. [단골](/topic/단골)제도는 없고 분포지역은 한강 이북에 있다’는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강신무는 북방 샤먼 계통으로 분류된다. 북방의 샤먼이 신의 세계로 가는 [빙의](/topic/빙의)(憑依) 현상이라면 한국의 무속에서는 신이 무당에게 내리는 빙신(憑身) 형태라는 데 차이가 있다. 강신무는 신이 내린 무당이기 때문에 굿에서 하는 모든 의례적 행위는 모두 신의 행동이라고 할 정도이다. 그래서 강신무의 굿은 세습무에 비해 강렬하고 신의적인 측면이 있다. 강신무는 한강 이북의 무속현상, 세습무는 한강 이남의 무속현상으로 지역적 특성을 설명하는 기준이 되기도 한다.

강신무에게 내리는 신병은 무병(巫病)이라고도 하는데, 무당이 되기 전에 앓는 정신적 질환의 일종이다. 예비무당의 신병은 태어날 때부터 잠재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본격적인 생활 속에서 표면화된다. 그러므로 이들은 반드시 [내림굿](/topic/내림굿)을 하여 무당의 길을 걷지 않으면 이 병을 고치지 못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신병은 ‘신들렸다’, ‘신이 붙었다’, ‘신이 집혔다’ 등으로 표현되는데 이러한 표현은 신병의 극치를 나타낸다. 무병을 앓는 사람은 신들림으로 인해 정상적인 행동규칙이 깨지고 이상한 행동과 정신적 혼돈의 상태에 있어 현대 의학적으로는 치료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신이 들리면 반드시 내림굿을 받아야 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것이다.

신병의 현상들은 ‘시름시름 앓는다’, ‘몸이 마비된다’, ‘괴이하고 이상한 행동을 한다’, ‘밥을 먹지 못한다’, ‘몸이 마른다’, ‘가정파탄을 일으킨다’, ‘신비스러운 현상을 체험한다’, ‘미래의 일을 알아맞힌다’, ‘먼 곳의 상황을 알아맞힌다’, ‘신의 물건을 캐온다’ 등 사람에 따라 다양하다. 이렇게 신이 집힌 사람이 신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신벌](/topic/신벌)(神罰)을 받게 되는데, 그 종류 또한 매우 다양하다. 가장 무서운 것은 ‘인다리를 놓는다’고 하여 집안사람들이 차례로 죽는 현상이다.

강신무가 무당이 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신병을 앓다가 신어머니 무당을 만나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된다. 내림굿은 신을 제압하는 것(눌림굿)이 아니라 신을 좌정시켜 예비무당이 신의 뜻을 받아들여 무당이 된다는 굿으로, 신굿, [신내림](/topic/신내림)굿, 명두굿이라고 한다. 내림굿을 하면 예비무당의 신병이 낫고 무업을 시작하게 된다. 내림굿 과정에서 신을 달래어 좌정시킨 후 숨겨진 신의 물건들인 신복(神服)이나 무구(巫具) 등을 찾아내게 한다. 또한 무업을 하면서 주신(主神)으로 모실 신들을 말문을 통해 불러낸 다음 엑스터시 상태에서 공수를 내리는 형식으로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무업을 잘하도록 신어머니가 베푸는 ‘솟을굿’을 하는 경우도 있다.

내림굿을 받은 무당은 신을 중간에 두고 맺는 스승과 제자 간의 관계를 통해 무업을 전승한다. 신굿을 주재한 사람은 경험이 많고 나이도 지긋한 무당이 대부분인데 남자이면 신아버지, 여자이면 신어머니 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내림굿을 하고 무업을 시작하는 무당은 신아들•[신딸](/topic/신딸)이라고 하며 신애기•애동이•애동제자 등으로 부른다. 이들의 관계는 내림굿을 하는 날부터 형성되어 일생 동안 신부모와 신자식 관계로 유지된다.

내림굿을 받은 강신무는 신어머니를 따라다니며 굿을 한다. 이 과정에서 강신무의 의례, 춤, [사설](/topic/사설), 공수 등을 배운다. 강신무가 하는 의례는 기본적으로 점, [고사](/topic/고사), 굿이 있다. 강신무의 점을 신점, 대신점이라고 하는데, 이는 완전하게 신의(神意)로 점을 본다는 것을 의미한다. 고사는 큰 굿을 할 수 없을 경우에 하는 간단한 무속 의례로 인간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굿은 무속의례 중에서 가장 큰 것으로 지역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다. 강신무의 굿은 무가를 불러 신을 불러들인 다음 춤을 추어 신을 기쁘게 하고, [재담](/topic/재담)을 통해 신과 교통하여 인간이 알고자 하는 신의 뜻을 무당의 입을 빌려 이루어지는 공수를 통하여 듣게 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지금까지 강신무와 세습무라는 큰 개념 구분은 무당의 유형론으로 사용되어 왔다. 이는 무속에 대한 원형론적 접근이라는 패러다임으로, 현재의 무속현상을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비판의 요지는 ‘원형론적 패러다임은 한국의 무당과 무속을 고대적인 시간 속에 위치시킴으로써 무속을 탈역사화 시키고, 무당을 탈인간화 시킨다는 것이었다. 말하자면 강신체험이 무당이 되는 충분조건이 아니므로 강신이 유형론의 기준이 되지는 못한다는 문제 제기이다. 이는 강신무 지역에서 행해지는 무의(巫儀)의 학습, 세습무 지역에서 강신무의 활동무대가 넓어짐에 따라 유형론에 따른 지역구분이 모호해진 현실적 변화에서 기인한다. 기존의 유형론이 변화의 맥락을 읽지 못했다는 것이다.

현재 한국사회에서 무속현상의 변화는 강신무도 세습되고 있고, 세습무도 강신을 하며, 지역 무속의 구분 없이 강신무와 세습무가 공존한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세습무에게도 강신무의 전유물인 신당, 신에 대한 뚜렷한 의식이 존재한다. 그래서 나타난 것이 강신무의 새로운 개념정리이다. ‘신병을 통해 무당이 되지만 세습도 이루어지고, 영력은 물론 개인적 능력과 예술적 소양으로 굿을 진행하며, 굿에서는 신의 뜻을 알아내는 특별한 방법과 능력을 지닌 점에서 다른 무당과 구별되는 무당’을 강신무로 정의하고 있다.

강신무와 세습무의 유형론에 대한 비판은 무속현상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연구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당시의 패러다임에서는 유의미한 개념이었음은 간과할 수 없다.
참고문헌한국 무속의 연구 (최길성, 아세아문화사, 1978)
한국무속연구 (김태곤, 집문당, 1981)
한국 무계의 분화변천 (김태곤, 무속신앙, 민속학회, 1989)
무속과 영의 세계 (김태곤, 한울, 1993)
무당문화의 전통 (양종승, 비교민속학 12, 한국비교민속학회, 1995)
새로 쓴 한국무속 (최길성, 아세아문화사, 1999)
무당의 [신병](/topic/신병)과 신들림 (양종승, 한국무속학 3, 2001)
강신무의 사례로 본 강신무와 세습무의 유형 구분 (홍태한, 한국무속학 7, 2003)
강신무ㆍ세습무 개념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용범, 한국무속학 7, 2003)
세습무 사례를 통해 살펴본 강신무ㆍ세습무의 구분 검토 (이경엽, 한국무속학 7, 2003)
강신무와 세습무 (손태도, 한국무속학 8, 2004)
강신무ㆍ세습무 유형론에 대한 일고찰 (김동규, 한국무속학 8, 2004)
강신무ㆍ세습무 유형론에 따른 무속연구 검토 (양종승, 한국무속학 8, 2004)
강신무ㆍ세습무 유형론의 비판적 고찰 (허용호, 한국무속학 9, 2005)
Gangsinmu is a possessed shaman capable of trance channeling, who has been initiated into the calling through a possession ritual (naerimgut) after experiencing spirit sickness.

The term is an academic categorization of shamans according to their initiation process, used in contrast to seseummu, or hereditary shaman. The former directly channels the language of the gods through his or her body, while the latter acts as an agent that delivers the gods’ words.

Possessed shamans are defined by three elements: the experience of spiritual sickness (sinbyeong); maintenance of a personal shrine for worshipping the deity that possessed them; and their role as officiant in a shamanic ritual. Their calling is not inherited and they possess a strong sense of spirituality and of the presence of the gods.

Prevalent in the regions north of the Han River, possessed shamans in Korea dress in elaborate ritual garb and enter a state of trance through frantic dancing accompanied by percussion music, at which stage they become capable of channeling the words of the gods. Korea’s possessed shamans are categorized as part of the Northern tradition shamanism. While Northern tradition shamans experience talhon (ecstacy), a process of the shaman’s soul ascending from the body toward the world of the gods, what Korean shamans experience is defined as bingui (possession), the descent of spirit onto the shaman’s body.

Since gangsinmu embody the descended spirit of the gods, every act they perform in a ritual is perceived as an act of the gods. Compared to rituals officiated by hereditary shamans, those by possessed shamans are therefore more intense and directly reflect the will of the gods. The categorization of gangsinmu and seseummu also serves as a criterion for defining the geographical divide between the regions north and south of the Han River, the former more prevalent in the north and the latter in the south. The spiritual sickness that possessed shamans experience is also called mubyeong, a form of psychiatric illness that can be healed only through a possession ritual (naerimgut).
神智癫狂失常,[降神](/topic/降神)后神附体而口吐[神语](/topic/神语)的巫师。

作为“入巫”过程,“降神巫”是将巫师进行分类的学术用语,是与“[世袭巫](/topic/世袭巫)”相对的概念。二者差别是,降神巫是神降临其身,直接用神语说话;世袭巫则是代替神,传达神的话语。

降神巫是由经验出神的萨满经历犯狂状态,在供奉入仙班神灵的个人“神堂”,主持巫俗祭祀仪式。如此,降神巫具备神病,神堂,巫仪这三个条件,因此,降神巫有降神体验,不能世袭。对神有强烈的意识,拥有个人神堂。

所具有的特征是进行[巫祭](/topic/巫祭)时,通过打击乐器和快速舞蹈进入出神状态,口吐“神谕”,充当神的角色,有绚烂的“巫服”,主要分布在汉江以北地区。这类降神巫属于北方萨满体系。二者差别是北方萨满是通向神的世界的“脱魂”现象,而韩国巫俗则是神降临到巫师身上的“神灵附体”形态。

降神巫是神降附体的巫师,因此巫祭中的所有行为,可以说都是神的行动,故降神巫的巫祭比世袭巫更强烈,带有神意的一面。降神巫是汉江以北地域的巫俗现象,世袭巫是汉江以南地域的巫俗现象,这可以是说明巫俗地域特性的标准。降临到降神巫身上的神病也可以称为“巫病”,它是成为巫师之前患的一种精神疾病,神病就必须作“降神巫”,不走巫师之路就无法治愈。
[[Mudang](/topic/Chamán)](/topic/Mudang) actúa como intermediario entre un dios o dioses y los seres humanos tras haber participado en un rito llamado naerimgut para recuperarse de la enfermedad sinbyeong.

El “gangsinmu” es uno de los arquetipos básicos de mudang, y esta palabra aparece generalmente en los textos. El gangsinmu se refiere a aquellas que permiten a los dioses hablar directamente por la boca de ellas mismas mientras están poseídas por los espíritus o dioses durante su ceremonia ritual. En cambio, el “seseummu” es un tipo de aquellas que han heredado de sus familias la vocación y transmiten las palabras de los dioses como mensajeras espirituales.

Los chamanes del tipo del gangsinmu que logran el éxtasis, después de ser poseídos por su espíritu protector durante el naerimgut y ser recuperados de la sinbyeong, llevan el espíritu a su sindang, donde prepararán un lugar especial dedicado a los ritos chamánicos, durante los cuales los dioses y espíritus son convocados por ellos. De esta manera, para demostrar que una persona puede ocupar el lugar de mudang, debe poseer 3 características determinadas: debe haber sufrido una “sinbyeong”, debe tener su propio “sindang” y también debe de llevar a cabo los ritos para comunicarse con los espíritus. Es decir, el gangsinmu se refiere a quienes son poseídos por los dioses y son elegidos por los dioses. Ellos tienen su propio sindang, así como poseen un poderoso sentido de espiritualidad y de la presencia de los dioses.

Durante la ceremonia chamánica, los chamanes femeninos llevan vestidos muy elaborados y juegan el papel de los dioses en un estado de éxtasis religioso a través de la música de percusión y la danza vertiginosa. Los chamanes del tipo del gangsinmu se concentran especialmente en las regiones del norte del Río Han, por lo cual el gangsinmu está clasificado como parte del chamanismo tradicional de las regiones norteñas. Mientras la tradición chamánica norteña es como entrar en un estado “talhon”, un proceso del viaje espiritual del cuerpo corporal al mundo de los dioses, los chamanes coreanos experimentan el fenómeno llamado “binguí”, en el que los dioses entran a su cuerpo.

Como el gangsinmu significa que son mujeres las que reciben la llamada al ser poseídas por un espíritu o dios, todas las acciones llevadas a cabo por ellas en sus ritos chamánicos se consideran como las de los dioses, así que, comparado con el ritual efectuado por el seseummu, el llevado a cabo por el gangsinmu es más intenso y relacionado directamente con la voluntad de los dioses. De este modo, la categorización del gangsinmu y del sesseummu puede ser un criterio para definir la división geográfica entre las regiones norteñas y las sureñas del Río Han. En cambio, la enfermedad espiritual sinbyeong, que también se conoce como “mubyeong”, es una forma de enfermedad psiquiátrica que puede ser curada solamente por un “naerimgut”, en el cual alguien se convierte en un chamán por ser poseído por un espíritu o dios.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