겉연

한국무속신앙사전
전북 지역 무속의례인 연올리기 혹은 전올리기에서 [속연](/topic/속연)을 끌어올릴 때 사용하는 종이무구. 겉전 혹은 겉대 등으로도 불린다. 속연과 함께 통틀어 ‘연(緣)’으로 불린다. 연(緣)은 묶음이라는 뜻과 인연의 약자로서 두 [가지](/topic/가지) 의미를 지닌다. 망자천도굿인 씨끔굿에 사용된다.
definition
전북 지역 무속의례인 연올리기 혹은 전올리기에서 [속연](/topic/속연)을 끌어올릴 때 사용하는 종이무구. 겉전 혹은 겉대 등으로도 불린다. 속연과 함께 통틀어 ‘연(緣)’으로 불린다. 연(緣)은 묶음이라는 뜻과 인연의 약자로서 두 [가지](/topic/가지) 의미를 지닌다. 망자천도굿인 씨끔굿에 사용된다.
mp3Cnt
0
wkorname
최진아
정의전북 지역 무속의례인 연올리기 혹은 전올리기에서 [속연](/topic/속연)을 끌어올릴 때 사용하는 종이무구. 겉전 혹은 겉대 등으로도 불린다. 속연과 함께 통틀어 ‘연(緣)’으로 불린다. 연(緣)은 묶음이라는 뜻과 인연의 약자로서 두 [가지](/topic/가지) 의미를 지닌다. 망자천도굿인 씨끔굿에 사용된다.
내용겉연은 전남 지역의 넋올리기와 유사한 거리인 연올리기 혹은 전올리기에서 넋으로 상징되는 [속연](/topic/속연)을 끌어올릴 때 사용되는 지물(持物)의 한 종류이다. 이 거리에서는 유족(遺族)의 머리 위에 속연을 올려놓는다. 그리고 겉연의 맨 윗부분에 만들어진 고리에 [신칼](/topic/신칼)로 인식되는 식도(食刀)를 끼워 넣은 뒤에 속연을 끌어 올린다. 이는 망자가 의례에 만족했는지를 알아보는 의도이다. 이 겉연에 속연이 따라 올라오지 않으면, 올라올 때까지 이 의식을 반복한다. 속연이 따라 올라오면 겉연을 가족들의 머리 위에서 원을 그리듯이 돌리는데, 이는 망자에게 유족들의 향기를 맡게 하려는 의도를 지닌다. 의례 주재자는 망자의 가족에게 두 손을 모으게 한 뒤에, 겉연을 털어 속연을 받게 하거나 혹은 펼쳐 놓은 망자의 옷 위에 털기도 한다. 이어서 겉연에 속연이 붙게 한 뒤에, 겉연의 머리 부분을 유가족에게 잡게 한 뒤에, 일부분을 식도로 잘라낸다. 이는 망자와 가족과의 인연을 끊는 의미로서, 이러한 행위는 가족 구성원의 숫자만큼 반복된다. 만약에 바다에서 넋건지기굿을 진행할 때는, 겉연과 속연을 바다에 던진다.

겉연은 두 [가지](/topic/가지)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데, 첫째는 그 용어에 담겨져 있으며 둘째는 그 형태에 담겨져 있다. 겉연[外緣]과 속연[內緣]의 연은 종이묶음이라는 의미와 함께, 조상과의 인연•망자와의 인연을 상징한다. 즉 망자와 산 사람들을 연결해 주는 인연의 매개체로서, 산 사람의 몸에 이것들을 올려놓고 끌어올린 뒤, 머리 위에서 원을 그리듯이 돌림으로써 망자에게 일시적으로나마 가족들의 체취를 느끼게 해주는 의미를 지닌다. 또한 속연이 담겨 있는 겉연을 칼로 잘라내는 행위는 인연의 단절, 즉 망자와 그 가족 간의 관계단절을 의미한다. 이러한 행위는 망자와의 절연을 상징하는 것으로, 잠시나마 망자가 자식들의 체취를 맡았지만, 이를 저승까지 가지고 갈 경우에 자식들에게 해를 끼치게 되므로 망자에게 빨리 잊고 가라는 의미를 지닌다. 만약 바다에 겉연과 속연을 던졌을 경우에 바다는 이승에서 저승으로 건너가는 경계영역인 월천(越川)으로 상징된다. 겉연과 속연은 생과 사의 영역을 구분하기 위한 의도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그 형태에 있어서, 겉연은 108가닥으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 이유는 인생의 번뇌를 떨쳐버리기 위한 것으로 여겨진다. 겉연은 망자와 유가족에게 이승과 저승의 인연을 끊고, 죽음이라는 인생의 번뇌를 떨치는 무속의 내세관이 반영된 결과물이라 볼 수 있다.
참고문헌[전북의 앉은굿](/topic/전북의앉은굿) 전수자 [최갑선](/topic/최갑선) 면담조사 및 의례조사(2006년 6월 3일~6월 6일) 자료
전북의 앉은굿 법사 최광식 면담조사 및 의례조사(2008년 2월 27일) 자료
전북의 넋건지기굿 전수자 [하진순](/topic/하진순) 면담조사 및 의례조사(2008년 4월 27일) 자료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 14-무의식편 (문화재관리국, 1983)
호남지역 종이무구의 변화상 및 상징성 고찰 (최진아, 한국무속학 14, 한국무속학회, 2007)
인간과 신령을 잇는 상징, 무구-전라남도·전라북도·제주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무속의 물질문화 연구 (최진아,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9)
형태겉연은 법사가 주로 제작하지만 의례를 주재하는 강신보살이 만들기도 한다. 겉연 또한 지전과 마찬[가지](/topic/가지)로 한 쌍으로 구성되며, [한지](/topic/한지)나 [창호지](/topic/창호지)가 그 재료가 된다. 종이는 겉연의 크기에 따라 큰 경우에는 8장 정도면 충분하고, 작은 경우에는 12장 정도가 필요하다. 지전처럼 길게 늘어뜨린 형태로 만들기는 하지만 제작 과정이나 형태에 있어서는 다소 차이가 나며, 지전에 비해 제작 과정이 단순하다. 겉연은 온장의 종이를 접은 뒤에 손잡이 부분을 제외한 부분을 일정한 간격으로 가위질을 한 다음 이를 다시 펴서 손잡이 부분으로 말아나간다. 반면에 지전은 종이를 접고 가위로 문양이나 구멍을 오려낸 뒤에 다시 이를 펼쳐서 손잡이 쪽으로 잡아 올리는 등의 복잡한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다. 겉연은 이 제작과정이 생략되어 지전과 그 형태상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겉연은 위와 같은 제작 과정을 반복한 뒤에, 온장의 4~6장으로 완성된 종이를 한꺼번에 묶는다. 이러한 종이묶음에서 ‘연’이라는 호칭을 사용하였을 것이라는 추정이 가능하다. 이 종이 묶음에 추가로 손잡이 부분 위로 고리를 만드는데, 이때는 종이로 새끼를 꼬듯이 꼬아서 고정시킨다. 이 부분은 전남 지역의 넋올리기와 유사한 연올리기에서 칼[食刀]로 들어올릴 때 유용하게 사용되며, 지전에는 없는 제작 과정이다.

겉연의 크기는 대략 60~70㎝에서 크게는 100㎝가 넘게 만들기도 한다. 겉연은 108가닥으로 제작되는 것이 원형이지만, 보기에 풍성해 보이지가 않아 대체로 200가닥 정도로 만들어진다. 겉연은 의례를 할 때 마다 제작하며, 의례가 끝나면 소각한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