곳간신

한국무속신앙사전
집안의 [곳간](/topic/곳간)을 지키는 신. 고방신, 도장신, 도장지신이라고도 한다. 재물과 관련되기 때문에 업과 동일시하는 경우도 있다.
definition
집안의 [곳간](/topic/곳간)을 지키는 신. 고방신, 도장신, 도장지신이라고도 한다. 재물과 관련되기 때문에 업과 동일시하는 경우도 있다.
mp3Cnt
0
wkorname
이명진
정의집안의 [곳간](/topic/곳간)을 지키는 신. 고방신, 도장신, 도장지신이라고도 한다. 재물과 관련되기 때문에 업과 동일시하는 경우도 있다.
정의집안의 [곳간](/topic/곳간)을 지키는 신. 고방신, 도장신, 도장지신이라고도 한다. 재물과 관련되기 때문에 업과 동일시하는 경우도 있다.
내용[곳간](/topic/곳간)은 쌀을 비롯한 집안의 재물을 보관하는 곳으로서 매우 중요한 공간으로 인식된다. 그러므로 많은 재산이 지속적으로 축적되고 유지되기를 바라는 마음이 곳간신에 대한 의례로 발현된다.

의례는 크게 치르지 않지만 간혹 신체를 모시거나 제물을 올리는 등의 형태를 볼 수 있다. 신체는 보통 ‘독’의 형태로 존재한다. 독에는 쌀을 넣어둔다. 하지만 신체를 찾아볼 수 있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곳간신을 위하는 의례는 주로 정월이나 [가을고사](/topic/가을고사) 때 행한다. 이때는 [찰밥](/topic/찰밥), 떡 등의 제물을 올리고 일 년 내내 쌀독을 비롯한 집안의 재물이 풍성하기를 [비손](/topic/비손)한다.
내용[곳간](/topic/곳간)은 쌀을 비롯한 집안의 재물을 보관하는 곳으로서 매우 중요한 공간으로 인식된다. 그러므로 많은 재산이 지속적으로 축적되고 유지되기를 바라는 마음이 곳간신에 대한 의례로 발현된다.

의례는 크게 치르지 않지만 간혹 신체를 모시거나 제물을 올리는 등의 형태를 볼 수 있다. 신체는 보통 ‘독’의 형태로 존재한다. 독에는 쌀을 넣어둔다. 하지만 신체를 찾아볼 수 있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곳간신을 위하는 의례는 주로 정월이나 [가을고사](/topic/가을고사) 때 행한다. 이때는 [찰밥](/topic/찰밥), 떡 등의 제물을 올리고 일 년 내내 쌀독을 비롯한 집안의 재물이 풍성하기를 [비손](/topic/비손)한다.
지역사례인천광역시 강화군 삼산면지역에서는 [곳간](/topic/곳간)에 쌀을 담은 독을 모신다. 이를 ‘업독’이라고 한다. 이 쌀은 가족들이 여름내 양식으로 썼다고 한다.

경남 의령군지역에서는 곳간신과 업을 동일시하는 사례가 보인다. 음력 시월에 곡식을 추수하여 곳간에 보관하면서 술, 떡, 나물 등 제물을 차려 놓고 곳간신에게 “업[장군](/topic/장군)님네요, 이 음슥 잡수시고 천석만석 부라 주고, 만석천석 부라 주이소.” 하며 [비손](/topic/비손)한다.

전라도지역에서는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 [찰밥](/topic/찰밥)을 김에 싸서 곳간에 두거나 쌀독 등에 넣어 두는 형태를 볼 수 있다. 이는 곳간신에게 쌀이 불어나는 등의 복을 많이 내려달라는 의미이다.

충청도지역에서는 곳간에 떡을 올려 신을 위하고, 일 년 동안 독이 비지 않게 해 달라고 비손한다. 특히 [정월떡](/topic/정월떡)이나 가을떡을 해서 집안의 성주, [조상신](/topic/조상신) 등에게 시루째 올린 뒤 일정량의 떡을 떼어서 곳간에 놓는다.
참고문헌한국의 가정신앙-경기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한국의 가정신앙-충남․충북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한국의 가정신앙-경남․경북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한국의 가정신앙-전남․전북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지역사례인천광역시 강화군 삼산면지역에서는 [곳간](/topic/곳간)에 쌀을 담은 독을 모신다. 이를 ‘업독’이라고 한다. 이 쌀은 가족들이 여름내 양식으로 썼다고 한다.

경남 의령군지역에서는 곳간신과 업을 동일시하는 사례가 보인다. 음력 시월에 곡식을 추수하여 곳간에 보관하면서 술, 떡, 나물 등 제물을 차려 놓고 곳간신에게 “업[장군](/topic/장군)님네요, 이 음슥 잡수시고 천석만석 부라 주고, 만석천석 부라 주이소.” 하며 [비손](/topic/비손)한다.

전라도지역에서는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 [찰밥](/topic/찰밥)을 김에 싸서 곳간에 두거나 쌀독 등에 넣어 두는 형태를 볼 수 있다. 이는 곳간신에게 쌀이 불어나는 등의 복을 많이 내려달라는 의미이다.

충청도지역에서는 곳간에 떡을 올려 신을 위하고, 일 년 동안 독이 비지 않게 해 달라고 비손한다. 특히 [정월떡](/topic/정월떡)이나 가을떡을 해서 집안의 성주, [조상신](/topic/조상신) 등에게 시루째 올린 뒤 일정량의 떡을 떼어서 곳간에 놓는다.
참고문헌한국의 가정신앙-경기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한국의 가정신앙-충남․충북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한국의 가정신앙-경남․경북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한국의 가정신앙-전남․전북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