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은사판전신중도
					
											
															
					
					0					
					
					1175
															
						
						
							2021.08.27 00:00						
					
				
			| 향토문화유적명 relicsNm  | 봉은사판전신중도 | 
|---|---|
| 문화유적지정번호 appnNo  | 서울특별시지정 유형문화재 제230호 | 
| 향토문화유적구분 relicsKnd  | 유형문화유적 | 
| 향토문화유적종류 relicsSe  | 불화 | 
| 소재지도로명주소 rdnmadr  | |
| 소재지지번주소 lnmadr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73 | 
| 위도 latitude  | 37.5158257 | 
| 경도 longitude  | 127.0577345 | 
| 지정일자 appnDate  | 2007-09-27 | 
| 소유주체구분 posesnSe  | 사유 | 
| 소유자명 ownerNm  | |
| 규모 scale  | |
| 조성시대 makePd  | |
| 이미지정보 picInfo  | |
| 향토문화유적소개 relicsIntrcn  | 현재 판전의 향 좌측 벽에 봉안되어 있는 신중도로서 1857년 판전 중단탱으로 조성되었다. 초의선사 의순(草衣禪師 意恂)이 증명으로 참여하였으며, 돈석(頓錫), 법유(法宥), 혜오(惠悟), □규(□奎), □일(□一), 석눌(錫訥) 등이 출초(出草)하고 금어(金魚) 비구(比丘) 선율(善律), 유진(有進), 법인(法仁), 진조(進浩) 등이 제작하였다. 현재 화기 앞부분이 떨어져 나가 정확한 조성연대가 알 수 없지만 시주자인 박용석(朴龍石)이 <봉은사개금탱화시주목록(奉恩寺改金幀畵施主目錄)〉(1857년)에도 그 이름이 올라있고,《불량답매입기(佛糧畓買入記)》에 1857년(철종8) 영기대사(永奇大師) 등이 권화(勸化)하여 판전에 신중탱화를 조성했다는 기록이 남아있어 1856년 판전을 건립하고 그 다음해인 1857년에 조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 
| 관리기관전화번호 phoneNumber  | 02-3218-4812 | 
| 관리기관명 institutionNm  | 대한불교조계종봉은사 | 
| 데이터기준일자 referenceDate  | 2021-08-27 | 
ctprvnNm  | 서울특별시 | 
sigunguNm  | 강남구 | 
sido  | 11 | 
sigungu  | 11230 | 
upmyundong  | |
| 네이버 블로그 관련글 | |
| 
											Array ( [bo_table] => public_nvpc_cltur [page] => 164 [wr_id] => 2227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