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경합부
					
											
															
					
					0					
					
					1178
															
						
						
							2021.10.08 00:00						
					
				
			| 향토문화유적명 relicsNm  | 삼경합부 | 
|---|---|
| 문화유적지정번호 appnNo  |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84호 | 
| 향토문화유적구분 relicsKnd  | 유형문화유적 | 
| 향토문화유적종류 relicsSe  | 서적 | 
| 소재지도로명주소 rdnmadr  |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1095 | 
| 소재지지번주소 lnmadr  | 대구광역시 달서구 신당동 1000-2 | 
| 위도 latitude  | 35.85355435 | 
| 경도 longitude  | 128.4814938 | 
| 지정일자 appnDate  | 2019-01-30 | 
| 소유주체구분 posesnSe  | 사유 | 
| 소유자명 ownerNm  | 계명대학교 | 
| 규모 scale  | 1책 | 
| 조성시대 makePd  | 조선시대 | 
| 이미지정보 picInfo  | |
| 향토문화유적소개 relicsIntrcn  | 『삼경합부』는『금강반야바라밀경』, 『대방광불화엄경입불사의해탈경계보현행원품』, 『관세음보살예문』등의 3경을 합해 금속활자인 ‘을유자’로 찍은 15세기 후기의 인출본이다. 을유자는『원각경』을 간행하기 위하여 1465년(세조11)에 정난종의 글씨를 자본으로 삼아 만든 금속활자이다. 그러나 글자체가 바르지 못하여 1484년(성종15)에 갑진자를 주조하기 전까지 약 20년간 사용되어 인본은 많지 않다. 을유자로 인출된 『삼경합부』는 계명대학교 외에 구미 자비사(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82호)를 비롯하여 5점 정도가 국내에 남아 있을 뿐이다. 이 판본은 거의 전하지 않아 희귀하고 완질본으로 상태가 매우 양호하여 조선 전기의 불교사와 인쇄술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 
| 관리기관전화번호 phoneNumber  | 053-667-2194 | 
| 관리기관명 institutionNm  | 대구광역시 달서구청 | 
| 데이터기준일자 referenceDate  | 2021-10-08 | 
ctprvnNm  | 대구광역시 | 
sigunguNm  | 달서구 | 
sido  | 22 | 
sigungu  | 22070 | 
upmyundong  | |
| 네이버 블로그 관련글 | |
| 
											Array ( [bo_table] => public_nvpc_cltur [page] => 254 [wr_id] => 865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