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신앙사전 1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가신위목
    1033 2023.02.27
    집안 신령[家神]을 위하고 한 해 동안 무탈하길 바라는 [안택](/topic/안택)을 할 때 신을 모시기 위한 위목(位目)
  • 가지꽃
    1030 2023.02.27
    서울굿의 모든 [굿](/topic/굿)에 사용되는 꽃. [다리화](/topic/다리화)·함박꽃(목단)·[살잽이꽃](/topic/살잽이꽃)으로 만드는데, 한 [가지](/topic/가지)에 여러 송이를 꽂았다하여 가지꽃이라 부른다. 또한 두 종류 혹은 세 종류 이상의 꽃을 꽂았다는 점에서 갖은꽃이라고도 부른다. 새남굿에서 무당의 머리에 꽂을 때는 머리꽃이라 부르기도 한다.
  • 감흥화
    1077 2023.02.27
    [감흥신령](/topic/감흥신령)을 상징하는 꽃.
  • 걸립명두
    655 2023.02.27
    [걸립신](/topic/걸립신)을 위한 명두.
  • 걸립화
    673 2023.02.27
    [걸립신](/topic/걸립신)을 모시기 위한 꽃.
  • 겉연
    681 2023.02.27
    전북 지역 무속의례인 연올리기 혹은 전올리기에서 [속연](/topic/속연)을 끌어올릴 때 사용하는 종이무구. 겉전 혹은 겉대 등으로도 불린다. 속연과 함께 통틀어 ‘연(緣)’으로 불린다. 연(緣)은 묶음이라는 뜻과 인연의 약자로서 두 [가지](/topic/가지) 의미를 지닌다. 망자천도굿인 씨끔굿에 사용된다.
  • 664 2023.02.27
    씻김굿에서 [고풀이](/topic/고풀이)를 할 때 사용하는 무구. ‘고’는 기다란 천이나 줄을 둥글게 매듭짓는 것을 말한다. 고싸움의 ‘고’나, 옷고름의 ‘고름’이 비슷한 용례라고 할 수 있다.
  • 고동화
    749 2023.02.27
    [동해안별신굿](/topic/동해안별신굿)에서 사용되는 지화.
  • 고리짝
    668 2023.02.27
    버드나무 [가지](/topic/가지)를 엮어서 만든 납작한 상자로 옷이나 책을 담는데 쓰며 ‘동고리’라고도 한다. 주로 서울 지역의 작은 굿에서 고리짝의 등쪽을 오동나무 채로 긁어 장구대신 사용한다. 타원형 혹은 직사각형의 형태가 있으며, 근래에는 대나무로 만든 [바구니](/topic/바구니)를 사용하기도 한다.
  • 구덕북
    689 2023.02.27
    제주도굿에서 무가나 춤을 반주할 때 쓰이는 북.
  • 국사당 무신도
    629 2023.02.27
    국[사당](/topic/사당) 내부에 있는 무신도로 중요민속자료 제17호.
  • 군문기
    605 2023.02.27
    신체 형상으로 오린 [백지](/topic/백지)를 대나무 [가지](/topic/가지)에 달아 [대문](/topic/대문)의 양쪽에 세우는 기. ‘군문’은 대문을 의미하고 ‘기’는 깃발을 의미한다. 올레에 두는 것이기에 ‘올렛기’라고도 한다.
  • 군웅방울
    688 2023.02.27
    황해도굿의 거리 중 하나인 군웅거리에서 사용되는 방울.
  • 극락문
    625 2023.02.27
    [동해안오구굿](/topic/동해안오구굿)에서 사용되는 굿당 장식물.
  • 기메
    665 2023.02.27
    제장에 설치하거나 의례에 직접 쓰기 위하여 창호지나 [백지](/topic/백지), 천 등으로 만든 신의 형상. 무가에서는 기메를 ‘기메[전지](/topic/전지)’, ‘기메기전’이라고도 하지만 일상적인 용어는 아니다.